❌이전글/이전글

로컬 DNS 서버 구축하기

2019. 5. 25. 02:16
반응형

로컬 DNS서버를 구축해보자  Local DNS Server

[root@localhost ~]#yum -y install bind bind-chroot  //네임서버 관련패키지입니다

 

[root@localhost ~]#vi /etc/named.conf //    캐싱전용네임서버 관련 설정파일로 들어갑니다

 

     12 options {

     13         listen-on port 53 { any; };                                                     //13행 any로 바꿔주세요

     14         listen-on-v6 port 53 { none; };                                               //14행 none으로 바꿔주세요

     15         directory       "/var/named";

     16         dump-file       "/var/named/data/cache_dump.db";

     17         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stats.txt";

     18         memstatistics-file "/var/named/data/named_mem_stats.txt";

     19         recursing-file  "/var/named/data/named.recursing";

     20         secroots-file   "/var/named/data/named.secroots";

     21         allow-query     { any; };                                              //query를 허용하기위해 any 바꿔주세요

 

[root@localhost ~]#systemctl restart named    //재시작

[root@localhost ~]#systemctl status named     // 네임서버 상태 확인

[root@localhost ~]#systemctl enable named    //네임서버 상시 실행

[root@localhost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dns   //53번 포트 DNS 를 열어줍니다

success

[root@localhost ~]#systemctl restart firewalld        //방화벽 재시작

 

로컬DNS서버가 잘구축되었지는 확인해보자

[root@localhost ~]#nslookup

> server DNS서버주소

Default server: x.x.x.x

 

Address: x.x.x.x#53

 

 

위 사진은 이해하기 쉽도록 올렸습니다

 

위에 빨간 점선으로 된 곳은 내부 로컬영역이며 라우터를 통해서 외부와 통신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에 서버는 로컬, 저희가 위에 구축한 로컬 서버입니다. 로컬서버를 구축하고  /etc/resolv.conf 에 구축한 서버IP를 적어주면 완료입니다. 다른 방법도 있지만 쉬워서 생략했습니다.

클라이언트는 윈도우로 구축했을 때 DNS에 구축한 서버의 IP를 적어주면 됩니다. 

 

 

 

전 글에 설명했듯이 인터넷창에 URL을 적으면 먼저 컴퓨터안 host파일을 확인한후 원하는 주소가 없으면 로컬영역의 네임서버를 그 다음으로 확인합니다.https://hihighlinux.tistory.com/47 <--네임서버 개념

 

보통 이 를 캐싱 전용 네임 서버라고 하더군요!! 이로서 옛날 hosts에 IP와 URL주소를 적던 그 시절의 문제를 해소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동일조건 (새창열림)

'❌이전글 > 이전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centos7 - telent 원격지 접속을 해보자  (0) 2019.06.24
파이썬 설치하기  (0) 2019.06.19
메일서버 프로토콜 세가지 SMTP, POP3, IMAP  (0) 2019.06.08
리눅스CentOS7- 마스터 DNS서버 , 네임서버 구축  (0) 2019.05.28
정보처리기사 합격했습니다  (1) 2019.05.24
DNS란 무엇인가 재귀적,반복적 쿼리  (2) 2019.05.21
셸 스크립트의 기초를 배우자(2) if~case문  (0) 2019.05.15
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에 노출 웹마스터도구  (1) 2019.05.12
'❌이전글/이전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메일서버 프로토콜 세가지 SMTP, POP3, IMAP
  • 리눅스CentOS7- 마스터 DNS서버 , 네임서버 구축
  • 정보처리기사 합격했습니다
  • DNS란 무엇인가 재귀적,반복적 쿼리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공부한거 대충 끄적이는 블로그...
반응형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정보의 게이트웨이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1)
    • 🐍JAVA (1)
    • 🐍ORACLE (3)
    • ❌이전글 (107)
      • 이전글 (107)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오라클
  • 셸스크립트
  • SQL
  • 디비버
  • dns
  • 우분투
  • 윈도우10
  • EVE-NG
  • Linux
  • centos7
  • 리눅스
  • 자바
  • 스위치
  • oracle
  • RAID구성
  • 네트워크
  • 티스토리
  • 센트오에스7
  • 운영체제
  • centos

최근 댓글

최근 글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로컬 DNS 서버 구축하기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