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이전글

ssh 서버란 서버설치와 접속까지

당근은싫지만먹어야함 2019. 8. 2. 18:40
반응형

ssh란?

 

ssh 는 secure shell의 약자이며, 보안이 강화된 telnet(원격접속)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암호화 하지 않아서 해킹의 위험이 있습니다. ssh는 telnet과 용도가 같으며, telnet의 보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  ssh는 또한 텍스트모드로 작동되고 있습니다.

 

ssh서버 설치

 

# 패키지 확인 
[root@localhost ~]# rpm -qa | grep ssh
libssh2-1.4.3-10.el7_2.1.x86_64
openssh-server-6.6.1p1-31.el7.x86_64
openssh-6.6.1p1-31.el7.x86_64
openssh-clients-6.6.1p1-31.el7.x86_64

패키지를 확인하면 위 네개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다. 없다면 패키지명(openssh-server)를 yum명령어로 설치하자.  참고로 데몬(서비스)는 sshd 이다.

서버에 클라이언트에서 원격접속할 유저를 추가해주자 user1을 추가하자
[root@localhost ~]# useradd user1
[root@localhost ~]# passwd user1
패스워드 입력

#방화벽 
[root@localhost ~]#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sh
[root@localhost ~]# systemctl restart firewall



 

클라이언트 - 서버 접속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접속

※ 참고로 서버의 아이피는 192.168.111.107이다. 
ssh 접속시 컨맨드라인에 ssh@서버ip를 적어주면된다.

[centos@localhost ~]$ rpm -qa | grep ssh
libssh2-1.4.3-10.el7_2.1.x86_64
openssh-clients-6.6.1p1-31.el7.x86_64
openssh-server-6.6.1p1-31.el7.x86_64
openssh-6.6.1p1-31.el7.x86_64
(클라이언트에서 설치된 패키지)

[centos@localhost ~]$ ssh user1@192.168.111.107     // 192.168.111.107 IP주소는 서버 호스트를 적어줍니다.
user1@192.168.111.107's password:
Last login: Fri Aug 2 18:30:14 2019 from 192.168.111.101

[user1@localhost ~]$whoami
user1 

[user1@localhost ~]$ ifconfig | head -2
ens32: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111.107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111.25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