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토폴로지는 구축은 eve-ng를 사용 운영체제 서버 Linux CentOS7 , 클라이언트 window7 사용 - Router1 config - 글로벌 컨피그레이션모드에서 인터페이스에 들어가서 주소를 할당해줍니다 interface Ethernet0/0 ip address 192.168.6.254 255.255.255.0 no shutdown interface Ethernet0/1 ip address 172.16.6.254 255.255.255.0 no shutdown 서로 다른 LAN주소끼리 통신을 위해 OSPF를 사용하였습니다 리눅스로 돌아와서 패키지를 다운받습니다 ( ping 8.8.8.8 로 인터넷연결을 확인해줍니다) yum install -y dhcp 다운 완료후 vi /etc/dhcp/..
# DHCP가 무엇일까???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입니다 # 왜 DHCP를 사용할까??? -> DHCP는 TCP/IP 를 자동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구성상의 불편함과 복잡함을 해소 하기 때문입니다. 1. IP Address를 자동으로 Client 컴퓨터에 부여 2. Clients 에게 정확한 network구성 정보를 제공 3. Client의 Network 구성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제공 4. Network상에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제거 # DHCP Lease Generation(임대생성) 1. DHCP 클라이언트가 Broadcasts로 DHCPDISCOVER 패킷 요청 2. DHCP 서버는 Broadcasts로 DHCPOFFER 패킷 응답 -..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파일과 디렉터리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etc/login.defs 사용자 계정과 그룹 생성 관련 기본 설정파일 /etc/passwd 사용자 계정 및 시스템 계정 관련 정보파일 /etc/shadow 사용자 계정 및 시스템 계정 관련 비밀번호 정보파일 /etc/group 그룹 관련 비밀번호 정보 파일 /home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터리가 기본 생성 디렉터리 /etc/skel 사용자 계정 생성시 사용자 계정의 환경 변수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는 디렉터리 (뼈대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움) /etc/default/useradd 사용자 계정 생성시 기본 설정 파일 # /etc/passwd 파일에 대한 설명 가장먼저 Lee -> 사용자 계정명 (리눅스 설치할 때 관리자와 일반 계정 사용자를..
vi vi(visual editor)에 대해 알아봅시다 vi는 한 줄씩 편집하는 줄 단위 편집기가 아니라 한 화면을 편집하는 비주얼 에디터라는 뜻에서 유래하였습니다.GUI 환경이 아닌 CLI 환경에서 작업을 하고 WindowsOS에서 제공하는 메모장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즉, 문서 편집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용형식 사용 형식 : vi [인자값] vi /backup/test로 파일을 생성한 후 vi 편집기의 맨 처음 명령 모드입니다 가장 먼저 알아두면 좋은 vi 명령어입니다 :se nu : set number 이런 식으로 바뀝니다 vi 모드 vi는 세 가지 모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 명령 모드 - -> 가장 기본 모드입니다 enter 키를 누를 필요가 없으며 하나하나의 ..
명령어의 구조 기본적인 리눅스 커맨드의 구조 명령어 [옵션] [인자값] 명령 : 리눅스라는 운영체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수백가지 명령어가 존재합니다 옵션 : 명령의 세부기능을 선택, 명령어 뒤에 하이픈(-)을 사용 후 옵션을 선택, 대 소문자를 구분합니다 인자 : 명령으로 전달하는 값 보통 파일명, 디렉토리명이 사용됩니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계층 구조(트리)로 구성되고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토리는 root 디렉토리로 불립니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흔히 알고 있는 폴더가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경로이동과 경로확인 경로 이동에는 cd 명령어, 경로 확인에는 pwd명령어가 있습니다 리눅스 터미널창에서 디렉터리 경로를 이동하기 위해 꼭 필요한 명령어들 입니다 필수로 암기 해주는..
vi /boot/grub2/grub.cfg 설정 파일을 엽니다 보기 편하게 :set nu 명령어로 행 번호를 보이게 합니다 linux16 /boot/vmlinuz-3.10.0-......이 부분을 찾아 위 사진처럼 맨끝에 vga=771을 추가 ※ 참고 : 769는 640x480 , 773는 1024x768 , 775는 1280x1024, 771는 800x600 :wq로 저장 종료 후 reboot명령어 입력 후 적용
리눅스 root 사용자 접속 금지 설정 터미널창에 명령어 입력 vi /etc/pam.d/gdm-password입력 빨간 선 표시된 부분 auth required pam_succeed_if.so user != root quiet 입력 로그아웃 클릭 후 root 사용자 재접속 root사용자 로그인 거부
리눅스 개요 리눅스 = 무료 유닉스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버전 0.01을 최초로 작서 1992년 0.02버전을 공개하면서 시작 리누스 토르발스는 커널(Kernel)만 개발 GNU Project 1984년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에 의해 GNU 프로젝트가 시작 목표 ->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 리차드 스톨만은 1985년에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FSF Free Software Foundation)을 설립 목표-> GNU 프로젝트에서 제작한 소프트웨어를 지원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복제, 변경 소스 코드의 사용에 대한 제한을 철폐 GPL(General Public License)을 따름 이 라이선스는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의 수정과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