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 명령어 [옵션] -name, -user(소유자), -newer(전, 후) , -perm(허가권), - size(크기) [action] -print(기본 값), -exec(외부 명령 실행) [예시] find /etc -name "*.conf" -> /etc 디렉터리 하위에 확장명이 '.conf' 인 파일 검색 find /home -user centos -> /home 디렉터리 하위에 소유자가 centos 인 파일 검색 find ~ -perm 644 -> 현재 사용자의 홈디렉터리 하위에 허가권이 644인 파일 검색 find /usr/bin -size +10k -size -100k -> /usr/bin 디렉터리 하위에 파일 크기가 10KB ~ 100KB 인 파일 검색 출처 - 이것이 리눅스..
리눅스에서 많이 보는 압축 파일의 확장명 xz, bz2, gz, zip, Z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압축률이 더좋은 xz와 bz2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파일 압축 xz 확장명 xz로 압축하거나 풀어줍니다 [사용 예] xz [옵션] 파일이름 - '파일 이름' 을 압축파일인 '파일이름.xz'로 만들어줍니다 기존파일은 삭제 [옵션] d(decompress) => xz -d '파일이름.xz' 압축파일을 일반 파일인 '파일이름'으로 만듦 l (list) - 압축 파일에 포함된 파일 목록과 압축률 등을 출력 k(keep) - 압축 후에 기존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둠 bzip2 확장명 bz2로 압축하거나 풀어줍니다 [사용 예] bz2 [옵션] 파일이름 - '파일이름' 을 압축 파일인 '파일..
yum 명령어와 관련된 설정파일 /etc/yum.conf/ /etc/yum.repo.d/ yum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인터넷에서 해당 패키지 파일을 검색하는 네트워크의 주소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yum install 패키지이름 을 입력하면 작동하는 순서 ① yum install 을 입력하면 ②에서 자동으로 /etc/yum.repos.d/ 디렉터리의 repo 파일을 확인합니다 핵심 파일은 Base.repo파일입니다 * Base.repos 파일에는 CentOS7 패키지 저장소의 인터넷 주소가 적혀 있습니다 ③ ④ 처럼 전체 패키지 목록 파일을 요청하고 다운로드합니다 (실제 다운로드 x , 패키지 이름만 들어 있는 목록만 가져온다는 것) 다운로드 한 패키지 목록 파일을 근거로 사용자가 요청한 패키지와 의..
CentOS에서 패키지(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RPM 과 YUM 입니다 YUM이 나오기 이전에는 주로RPM이 사용되었으나, YUM은 RPM 의 개념과 기능을 포함 하기 때문에 최신 버전 CentOS에서는 YUM을 사용하면 됩니다 그러나 YUM 이 별도로 존재한다기보다는 RPM을 포함한 확장 개념에 가까우므로 먼저 RPM의 개념을 익혀야 합니다 - RPM ( Redhat Package Manager ) 초창기 리눅스의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여 레드햇사에서는 윈도우즈의 setup.exe와 비슷하게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 할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설치 파일의 확장명을 *.rpm , 이를 패키지(Pa..
ls -l 명령어로 리스트를 확인 initial - setup-ks.cfg 예로 1. 파일유형 2. 파일허가권 3. 링크 수 4. 파일 소유자 이름 5. 파일 소유 그룹이름 6. 파일크기(Byte) 7. 마지막변경 날짜/시간 8. 파일 이름 - rw-r--r-- 1 root root 2040 12월 10 23:56 initial-setup-ks.cfg 1. 파일 유형 (파일 유형) : 파일이 어떤 종류의 파일인지를 나타냅니다. 디렉터리는 d, 일반적인 파일 - , b 블록 디바이스 , c는 문자 디바이스 , l는 링크 2. 파일 허가권 rw-r--r-- (파일 허가권) : 3개 씩 끊어서 보시면 됩니다. r은 read , w는 write , x는 execute 의 약자입니다, 즉 rw- 는..
마운트 리눅스에서의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DVD, USB메모리를 사용하려면 지정한 위치에 연결 시켜줘야합니다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 위치에 연결시켜주는 것을 마운트라고 부릅니다 1. Vmware 에서 CD모양 버튼을 클릭하여 settings를 클릭하고 connected를 해제하고 OK버튼을 눌러줍니다 기존 CD/DVD를 해제하는 것) 2. 다시 CD버튼을 클릭하고 settings에 들어갑니다 iso image file을 넣어주고 conneted를 클릭합니다 (cd모양에 초록버튼이 활성화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혹시 기존CD/DVD가 마운트 되어 있을 수 있으니 umount 명령어를 사용해서 마운트를 해제합니다) 3. 터미널 창에 mount 명령어를 입력해서 맨 밑에 CD/DVD장치인 /..
런 레벨(Runlevel) init 명령어 뒤에 붙는 숫자를 런레벨 Runlevel이라고 부릅니다 런레벨 영문 모드 설명 비고 0 Power off 종료 모드 1 Rescue 시스템 복구 모드 단일 사용자 모드 2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 3 Multi-User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4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 5 Graphical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6 Reboot 런 레벨 모드를 확인하려면 /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의 runlevel?.target파일 확인 터미널 창에서 런레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맨 왼쪽 l(link의 약자)를 보면 알 수 있듯이 /lib/systemd/system.runlevel0.target을 ..
# 시스템종료와 재부팅 로그아웃 - 시스템 종료 명령어 shutdown -P now halt -p init 0 - 시스템 재부팅 명령어 shutdown -r now reboot init 6 - 로그아웃 logout exit 터미널창에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리눅스는 서버 용도로 사용 시 시스템종료 하지 말고 계정만 로그아웃하는 식으로 운영을 해야합니다 왜냐하면 시스템을 종료 시키면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 유저들이 해당 서버의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기 때문 # 가상콘솔 CenotOS 는 총 6개의 가상 콘솔을 제공 가상 모니터 변경 vmware창에서 Ctrl + Alt + F2 ~ F6 (ex. 2번 모니터로 변경시 F2) Ctrl + Alt + F1은 X윈도우 모드 초기 설정..
리눅스 root 사용자 접속 금지 설정 터미널창에 명령어 입력 vi /etc/pam.d/gdm-password입력 빨간 선 표시된 부분 auth required pam_succeed_if.so user != root quiet 입력 로그아웃 클릭 후 root 사용자 재접속 root사용자 로그인 거부
vi 에디터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될시 조치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vi 명령어로 파일 생성 2. 아무 글자나 적어줍니다( 저장후 수정하여서 해도 상관없습니다) 3. 터미널창을 닫습니다 (비정상적인 종료, 원래대로면 :wq 로 저장후 닫아줘야합니다) vi file.txt 로 파일을 열어줍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엔터를 누르고 :q로 나가줍니다 바로 명령어 ls -a 로 숨겨진 파일을 확인해줍니다 그러면 .file.txt.swp( . 은 숨겨진 파일을 뜻합니다) 로 임시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임시 파일을 삭제 시 터이상 위의 문구가 뜨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rm 명령어로 파일을 삭제 시켜줍니다) 임시 스왑 파일이 존재한다는 것은 파일의 수정 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