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Windows시작 + r)에서 winver 를 입력 후 Enter. 자신의 버전을 확인 후 업데이트 낮은 버전의 Windows10을 사용하면 야간 모드가 회색으로 바뀌면서 클릭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OS오류라고 한다. OS문제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주어서 문제를 해결해줘야합니다. Windows시작 + s를 누르고, 업데이트를 입력 후 업데이트 확인으로 들어가서 자신의 OS가 최신 버전인지 확인 최신 버전이 아니라면 업데이트를 해주자! 다른 방법 1. 실행창에서 regedit을 실행 시켜 레지스트리 편집기로 들어간다. 2. 아래와 같은 경로로 이동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CloudStore\..
서버에 6.9 OS 설치 중 검은 화면 해결 아래 사진과 같이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을 눌르고 설치를 하려는데, 검은 화면이 뜨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 가지 않는다. 그럴 때는 enter키를 누르지말고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 에 위치 한 후 tab키를 눌러서 edit options 실행 후 아래와 같이 적어줍니다. https://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articles/000031570/server-products.html How to Fix Error: System stuck on black screen when installing RHEL... Steps on how..
호스트네임 각 서버에 호스트명 웹이면 웹, DNS면 DNS서버로 호스트네임을 지어주면 쉽게 구분이 가는데 Centos7에서 호스트명을 변경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1 2 3 4 5 [root@testhost ~] cat /etc/hostname testhost [root@testhost ~] hostnamectl set-hostname testhost [root@testhost ~] hostname testhost 가장 먼저 vi /etc/hostname 에 적힌 localhost라고 적힌 부분을 지워서 자신이 원하는 호스트명을 적어서 변경하거나, hostnamectl set-hostname [원하는호스트명]을 적어주면 변경된다 하지만 재부팅해야 roo@ 옆에 호스트명이 변경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root@localhost ~]# cat test.txt b a c g h t e f ds f n 리눅스 터미널창 커맨드라인에서 cat명령어로 출력했을 때 위와 같이 text파일이 있다고 가정하자. 정렬이 필요할 때 sort 와 리다이렉션을 같이 써주면 정렬된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root@localhost ~]# sort 리다이렉션 하나 더 사용해주면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root@localhost ~]$ sort Sort.txt [root@localhost ~]$ cat Sort.txt a b c ds e f f g h n t
사용 운영 체제 -> Windows10 예전 작업할 때 대용량, 저용량, 수 많은 파일을 옮길 일이 생겼을 때, 파일 질라로 서버에 접속하고 옮기려고 했는데, 접속이 안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럴 때를 대비해서 CMD에서 로보카피라는 것을 사용했었는데요. 어떻게 하는지 참고 용으로 작성합니다. 현재 상황입니다. 스위치에 서버 두대가 붙어있는 상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00번 에서 2번으로 파일을 옮기는 상황입니다. 그러기 위해 100번 cmd 에서 2번 으로 net use 공유폴더 연결을 해줘야합니다. (192.168.0.2의 폴더를 공유로 설정해줘야합니다) #명령어 net use x: 192.168.0.2.경로 (192.168.0.2의)User명 Password 100번에서 아래 사진처럼 지정한 ..
vmware로 윈도우10 가상머신 만들고 ISO넣고 구동하니 자꾸 검정화면에서 더 넘어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더군요. 한번은 스카시 어쩌구 저쩌구 unseccessful 블라 블라 뜨면서 다음 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Shut Down Guest 를 눌르면 밑의 사진처럼 흐려지면서 아무것도 클릭할 수 없었습니다. 뭐가 문제지 찾아보다 펌웨어 설정에서 UEFI로 설정했던 것이 문제였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UEFI말고 BIOS를 선택해서 가상머신을 만들어줘야합니다. https://communities.vmware.com/thread/573067 >>>EFI Network St" data-og-host="communities.vmware.com" data-og-source-url="https://commu..
오늘 포스팅은 tftpd32로 스위치 nvram에 있는 설정파일을 백업하고 가져오는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vmware 가상 머신으로 윈도우7 컴퓨터하나와 스위치를 연결해주었습니다. win7은 VMnet1으로 설정해주었습니다. 물론 eve-ng도 cloud1로 맞춰줘야겠죠. win7과 스위치가 ping으로 연결이 되었는지 확인해줍니다.(위 사진으로 IP를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win7에 tftpd32를 설치한후 경로를 설정해주세요 전 C:\backup\ C드라이브 밑에 backup파일을 만들어 주었고, 아래 사진처럼 tftpd32를 실행해서 Browser를 눌러서 Current Directory도 C:\backup 설정해주었습니다. 현재 win7을 서버로 생각하고 스위치를 클라이언트로 생..
루핑이 도는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루핑이 발생하는 이유는?? 루핑이 발생하는 이유는 1번PC에서 2번PC로 통신을 하면 상대방의 IP주소와 MAC주소를 알아오기 위해서 ARP Request를 스위치에 보내는데, 이 ARP Request의 목적지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주소입니다. Switch3은 목적지 주소가 브로드캐스트 이므로(맥테이블에 맥주소가 없는 것을 확인) 모든 포트로 플러딩Flooding을 합니다. 이 목적지 주소가 브로드캐스트인 프레임이 계속 스위치들에서 플러딩됩니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네트워크를 계속 돌게되는 루핑이 발생합니다 #루핑 방지법 기술 STP. 대표적인 스위치 기술. 스패닝트리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위 사진에 보면 Switch4의 Fa0/1포트가 주황색으로 칠해져있는 것을 ..
허브 - 멀티 포트 리피터 : 포트가 많고 리피터 기능을 할 수 있는 뜻 리피터는 데이터 전송거리를 늘려주는 역활을 합니다. 보통 UTP케이블은 100m 거리가 최대 전송거리인데, 100m 넘는 거리 통신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이더넷 CSMA/CD 적용을 받음. 허브에 꽂혀있는 피시들은 어느 한 순간에 한 PC만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 - 플러딩 기능. 한 PC가 데이터를 허브를 통해 전송시 허브는 받은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로 데이터를 뿌림(자신의 데이터가 아닌 것을 확인한 pc는 데이터를 무시, 자신의 데이터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랜카드를 통해 확인이 가능[맥어드레스로 확인] ) 스위치 - 1번 포트와 연결된 PC와 2번 포트에 연결된 PC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시에 다른 포트끼리 데이터를..
NIC정리 #NIC은 랜카드입니다 Network InterFace Card의 약어입니다. 자신에게 온 데이터를 CPU에게 전달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PC의 버스방식 3가지 - 현재 가장많이 사용하는 방식 PCI - ISA 이전에 많이 사용하는 방식 - EISA 서버급 PC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버스 ※ 여기서 버스란 데이터가 지나가는 길을 의미 #랜카드의 속도 10메가 , 100메가 , 1기가 등 (이전에는 10mbps가 보편적) #10mbps란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뜻함 1초에 10,000,000bit 8bit = 1byte 10,000,000 /8 = 1,250,000byte => 1초에 1MB 하지만 실제 차이가 있음 => OSI7계층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패킷에 여러 헤더 등 이 붙어서 #랜카드 ..